[Gold IV] 테트로미노 - 14500
성능 요약
메모리: 168848 KB, 시간: 1432 ms
분류
브루트포스 알고리즘(bruteforcing), 구현(implementation)
문제 설명
폴리오미노란 크기가 1×1인 정사각형을 여러 개 이어서 붙인 도형이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정사각형은 서로 겹치면 안 된다.
- 도형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 정사각형의 변끼리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즉, 꼭짓점과 꼭짓점만 맞닿아 있으면 안 된다.
정사각형 4개를 이어 붙인 폴리오미노는 테트로미노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5가지가 있다.
아름이는 크기가 N×M인 종이 위에 테트로미노 하나를 놓으려고 한다. 종이는 1×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칸에는 정수가 하나 쓰여 있다.
테트로미노 하나를 적절히 놓아서 테트로미노가 놓인 칸에 쓰여 있는 수들의 합을 최대로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테트로미노는 반드시 한 정사각형이 정확히 하나의 칸을 포함하도록 놓아야 하며, 회전이나 대칭을 시켜도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종이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4 ≤ N, M ≤ 5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종이에 쓰여 있는 수가 주어진다. i번째 줄의 j번째 수는 위에서부터 i번째 칸, 왼쪽에서부터 j번째 칸에 쓰여 있는 수이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수는 1,0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테트로미노가 놓인 칸에 쓰인 수들의 합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풀이
처음에는 해당 모양만 되는 줄 알고 5개의 케이스를 하드코딩하려고 했는데, 회전과 대칭을 포함해서 총 19개의 경우가 가능했다.
사방탐색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면 가능할 것 같아서 dfs로 구현하였다.
초기값인 r,c에 대해 visited 값을 false로 만들지 않아서 85퍼에서 틀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dfs는 방문 처리를 제대로 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static void dfs(int r, int c, int depth, int sum, int dir) {
if (depth == 4) {
ans = Math.max(ans, sum);
return;
}
visited[r][c] = true;
for (int d = 0; d < 4; d++) {
int nr = r + dr[d];
int nc = c + dc[d];
if (nr >= 0 && nr < N && nc >= 0 && nc < M && !visited[nr][nc]) {
visited[nr][nc] = true;
dfs(nr, nc, depth + 1, sum + map[nr][nc], d);
visited[nr][nc] = false;
}
}
visited[r][c] = false;
}
그러나 마지막 핑크색 테트로미노의 경우는 dfs로 구현하면 이미 방문한 좌표는 다시 방문하지 않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경우만 한 번 더 검사하도록 하였다.
static void find(int r, int c) {
/*
* 1 3 모양 검사하기..
*/
int[] nr = { r + 1, r - 1, r, r };
int[] nc = { c, c, c + 1, c - 1 };
label: for (int i = 0; i < 4; i++) {
int sum = map[r][c];
for (int j = 0; j < 4; j++) {
// 하나라도 범위 벗어나면 continue
if (i != j) {
if (nr[j] < 0 || nr[j] >= N || nc[j] < 0 || nc[j] >= M)
continue label;
sum += map[nr[j]][nc[j]];
}
}
ans = Math.max(ans, sum);
}
}
전체 코드
package BOJ.Gold.g4;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_14500_테트로미노 {
static int[] dr = { 1, -1, 0, 0 }; // 아래 위 오 왼
static int[] dc = { 0, 0, 1, -1 };
static int N, M;
static int[][] map;
static int ans;
static boolean[][] visite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N = sc.nextInt();
M = sc.nextInt();
map = new int[N][M];
visited = new boolean[N][M];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0; j < M; j++)
map[i][j] = sc.nextInt();
// 모두 길이가 4, 각각의 모양을 하나씩 검사하면 됨
for (int r = 0; r < N; r++)
for (int c = 0; c < M; c++)
for (int d = 0; d < 4; d++)
dfs(r, c, 1, map[r][c], d);
// bfs 한번만..
for (int r = 0; r < N; r++)
for (int c = 0; c < M; c++)
find(r, c);
System.out.println(ans);
}
static void find(int r, int c) {
/*
* 1 3 모양 검사하기..
*/
int[] nr = { r + 1, r - 1, r, r };
int[] nc = { c, c, c + 1, c - 1 };
label: for (int i = 0; i < 4; i++) {
int sum = map[r][c];
for (int j = 0; j < 4; j++) {
// 하나라도 범위 벗어나면 continue
if (i != j) {
if (nr[j] < 0 || nr[j] >= N || nc[j] < 0 || nc[j] >= M)
continue label;
sum += map[nr[j]][nc[j]];
}
}
ans = Math.max(ans, sum);
}
}
static void dfs(int r, int c, int depth, int sum, int dir) {
if (depth == 4) {
ans = Math.max(ans, sum);
return;
}
visited[r][c] = true;
for (int d = 0; d < 4; d++) {
int nr = r + dr[d];
int nc = c + dc[d];
if (nr >= 0 && nr < N && nc >= 0 && nc < M && !visited[nr][nc]) {
visited[nr][nc] = true;
dfs(nr, nc, depth + 1, sum + map[nr][nc], d);
visited[nr][nc] = false;
}
}
visited[r][c] = false;
}
}
'문제 풀이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293 - 동전 1, 2294 - 동전 2 (자바 Java) (1) | 2022.10.05 |
---|---|
[백준] 7682 - 틱택토 (자바 Java) (0) | 2022.10.05 |
[백준] 2225 - 합분해 (자바 Java) : DP (0) | 2022.10.02 |
[백준] 1504 - 특정한 최단경로 (자바 Java) (0) | 2022.09.30 |
[백준] 2887 - 행성 터널 (자바 Java)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