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V] 로봇 청소기 - 14503
성능 요약
메모리: 17312 KB, 시간: 168 ms
분류
구현(implementation), 시뮬레이션(simulation)
문제 설명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 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중 하나이다. 지도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고, r은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 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로봇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후진을 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이면서, 뒤쪽 방향이 벽이라 후진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작동을 멈춘다.
로봇 청소기는 이미 청소되어있는 칸을 또 청소하지 않으며, 벽을 통과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3 ≤ N, M ≤ 50)
둘째 줄에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좌표 (r, c)와 바라보는 방향 d가 주어진다. d가 0인 경우에는 북쪽을, 1인 경우에는 동쪽을, 2인 경우에는 남쪽을, 3인 경우에는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셋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장소의 상태가 북쪽부터 남쪽 순서대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빈 칸은 0, 벽은 1로 주어진다. 지도의 첫 행, 마지막 행, 첫 열, 마지막 열에 있는 모든 칸은 벽이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상태는 항상 빈 칸이다.
출력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처음에 테케가 이해가 안 돼서 어떻게 돌아가는 로직인지 헷갈렸다.
후진을 하는 방식을 잘못 이해해서 답이 다르게 나왔다.
이미 청소한 곳으로는 후진을 하지 않는다고 이해했는데, 그게 아니고 벽을 만날 때까지 후진해야 하는 문제였다.
벽과 이미 청소한 곳을 구분하기 위해 cnt를 2부터 시작하여 청소한 곳에 cnt를 저장하고, 마지막에 cnt-1을 값으로 출력하였다.
static void dfs(int R, int C, int dir) {
if (map[R][C] == 0)
map[R][C] = ++cnt; // 청소하기
boolean check = false;
for (int d = 1; d <= 4; d++) {
// 왼쪽으로 회전: dir-1, dir-2 ...
int nd = (4 + dir - d) % 4;
int nr = R + dr[nd];
int nc = C + dc[nd];
if (map[nr][nc] == 0) {
check = true;
dfs(nr, nc, nd);
break;
}
// 네 방향 모두 벽: 후진하기
}
if (!check) {
int nr = R - dr[dir];
int nc = C - dc[dir];
if (map[nr][nc] != 1)
// 후진해서 넣기
dfs(nr, nc, dir); // 후진해서 넣을때의 방향 문제
// https://www.acmicpc.net/board/view/34448
// 이미 방문했더라도 벽을 만날때까지 후진하기
}
}
그리고 dfs로 한 번 방향을 찾으면 break를 하여 다른 방향으로 가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후진을 통해서만 다음 청소할 곳을 찾을 수 있다.
전체 코드
package BOJ.Gold.g5;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_14503_로봇청소기 {
static int[] dr = { -1, 0, 1, 0 }; // 북 동 남 서
static int[] dc = { 0, 1, 0, -1 };
static int[][] map;
static int N, M;
static int cnt =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N = sc.nextInt();
M = sc.nextInt();
map = new int[N][M];
int R = sc.nextInt();
int C = sc.nextInt();
int dir = sc.nextInt();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0; j < M; j++)
map[i][j] = sc.nextInt();
// 1은 벽, 방문한 곳도 1로 만들기
dfs(R, C, dir);
System.out.println(cnt - 1);
}
static void dfs(int R, int C, int dir) {
if (map[R][C] == 0)
map[R][C] = ++cnt; // 청소하기
boolean check = false;
for (int d = 1; d <= 4; d++) {
// 왼쪽으로 회전: dir-1, dir-2 ...
int nd = (4 + dir - d) % 4;
int nr = R + dr[nd];
int nc = C + dc[nd];
if (map[nr][nc] == 0) {
check = true;
dfs(nr, nc, nd);
break;
}
// 네 방향 모두 벽: 후진하기
}
if (!check) {
int nr = R - dr[dir];
int nc = C - dc[dir];
if (map[nr][nc] != 1)
// 후진해서 넣기
dfs(nr, nc, dir); // 후진해서 넣을때의 방향 문제
// https://www.acmicpc.net/board/view/34448
// 이미 방문했더라도 벽을 만날때까지 후진하기
}
}
}
'문제 풀이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7135 - 캐슬 디펜스 (자바 Java) (0) | 2022.10.06 |
---|---|
[백준] 17471 - 게리맨더링 (자바 Java) (0) | 2022.10.06 |
[백준] 16236 - 아기 상어 (자바 Java) (0) | 2022.10.06 |
[백준] 1003 - 피보나치 함수 (자바 Java) (0) | 2022.10.06 |
[백준] 2096 - 내려가기 (자바 Java)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