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요약
메모리: 24332 KB, 시간: 348 ms
분류
백트래킹(backtracking), 브루트포스 알고리즘(bruteforcing), 구현(implementation), 시뮬레이션(simulation)
문제 설명
2048 게임은 4×4 크기의 보드에서 혼자 즐기는 재미있는 게임이다. 이 링크를 누르면 게임을 해볼 수 있다.
이 게임에서 한 번의 이동은 보드 위에 있는 전체 블록을 상하좌우 네 방향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같은 값을 갖는 두 블록이 충돌하면 두 블록은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한 번의 이동에서 이미 합쳐진 블록은 또 다른 블록과 다시 합쳐질 수 없다. (실제 게임에서는 이동을 한 번 할 때마다 블록이 추가되지만, 이 문제에서 블록이 추가되는 경우는 없다)
![]() |
![]() |
![]() |
<그림 1> | <그림 2> | <그림 3> |
<그림 1>의 경우에서 위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2>의 상태가 된다. 여기서, 왼쪽으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3>의 상태가 된다.
![]() |
![]() |
![]() |
![]() |
<그림 4> | <그림 5> | <그림 6> | <그림 7> |
<그림 4>의 상태에서 블록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그림 5>가 되고, 여기서 다시 위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6>이 된다. 여기서 오른쪽으로 블록을 이동시켜 <그림 7>을 만들 수 있다.
![]() |
![]() |
<그림 8> | <그림 9> |
<그림 8>의 상태에서 왼쪽으로 블록을 옮기면 어떻게 될까? 2가 충돌하기 때문에, 4로 합쳐지게 되고 <그림 9>의 상태가 된다.
![]() |
![]() |
![]() |
![]() |
<그림 10> | <그림 11> | <그림 12> | <그림 13> |
<그림 10>에서 위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11>의 상태가 된다.
<그림 12>의 경우에 위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13>의 상태가 되는데, 그 이유는 한 번의 이동에서 이미 합쳐진 블록은 또 합쳐질 수 없기 때문이다.
![]() |
![]() |
<그림 14> | <그림 15> |
마지막으로, 똑같은 수가 세 개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하려고 하는 쪽의 칸이 먼저 합쳐진다. 예를 들어, 위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위쪽에 있는 블록이 먼저 합쳐지게 된다. <그림 14>의 경우에 위로 이동하면 <그림 15>를 만든다.
이 문제에서 다루는 2048 게임은 보드의 크기가 N×N 이다. 보드의 크기와 보드판의 블록 상태가 주어졌을 때, 최대 5번 이동해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의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 (1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게임판의 초기 상태가 주어진다. 0은 빈 칸을 나타내며, 이외의 값은 모두 블록을 나타낸다. 블록에 쓰여 있는 수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024보다 작거나 같은 2의 제곱꼴이다. 블록은 적어도 하나 주어진다.
출력
최대 5번 이동시켜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을 출력한다.
구현은 분명 잘 한 것 같은데 자꾸 틀려서 확인해보니까 배열을 복사하는 과정에서 업데이트가 잘 되지 않았던 것 같다.
배열을 static으로 선언하고 dfs를 실행할 때마다 copy 배열을 통해 배열을 update 해주었다.
static void dfs(int cnt) {
if (cnt == 5) {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0; j < N; j++)
if (arr[i][j] != 0)
max = Math.max(max, arr[i][j]);
return;
}
int copy[][] = new int[N][N];
for (int i = 0; i < N; i++)
copy[i] = arr[i].clone();
for (int i = 0; i < 4; i++) {
move(i);
dfs(cnt + 1);
for (int a = 0; a < N; a++)
arr[a] = copy[a].clone();
}
}
move 함수는 방향에 따라 각각 구현하였다.
먼저 0이 있는 경우에 해당 방향에 0을 모두 당겨주었다.
그렇게 해서 0을 모두 없애고, 아래 방향이라면 밑에서부터, 위라면 아래서부터 등등 검사하면서 같은 값이 있으면 *2를 해주고 다시 값을 하나씩 당겨준다.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현하였다.
switch (dir) {
case 0:
// 아래 -> 밑에서부터 검사함
// 0이 아닐 때까지 땡기기
for (int c = 0; c < N; c++) {
for (int r = N - 1; r >= 0; r--) {
if (arr[r][c] == 0) {
for (int d = r - 1; d >= 0; d--) {
if (arr[d][c] != 0) {
arr[r][c] = arr[d][c];
arr[d][c] = 0;
break;
}
}
} // 0 없애기
}
for (int r = N - 1; r >= 1; r--) {
if (arr[r][c] == arr[r - 1][c] && arr[r][c] != 0) {
arr[r][c] *= 2;
for (int d = r - 1; d >= 1; d--) {
arr[d][c] = arr[d - 1][c];
}
arr[0][c] = 0;
}
}
}
break;
전체 코드
package Gold.g2;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_12100_2048easy {
static int N;
static int max = 0;
static int[][] copy;
static int[][] arr;
static boolean isMove = false;
static int[] dr = { 1, -1, 0, 0 };
static int[] dc = { 0, 0, 1,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N = sc.nextInt();
arr = new int[N][N];
copy = new int[N][N];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0; j < N; j++) {
arr[i][j] = sc.nextInt();
}
max = 0;
dfs(0);
System.out.println(max);
}
static void dfs(int cnt) {
if (cnt == 5) {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0; j < N; j++)
if (arr[i][j] != 0)
max = Math.max(max, arr[i][j]);
return;
}
int copy[][] = new int[N][N];
for (int i = 0; i < N; i++)
copy[i] = arr[i].clone();
for (int i = 0; i < 4; i++) {
move(i);
dfs(cnt + 1);
for (int a = 0; a < N; a++)
arr[a] = copy[a].clone();
}
}
static void move(int dir) {
switch (dir) {
case 0:
// 아래 -> 밑에서부터 검사함
for (int c = 0; c < N; c++) {
for (int r = N - 1; r >= 0; r--) {
if (arr[r][c] == 0) {
for (int d = r - 1; d >= 0; d--) {
if (arr[d][c] != 0) {
arr[r][c] = arr[d][c];
arr[d][c] = 0;
break;
}
}
} // 0 없애기
}
for (int r = N - 1; r >= 1; r--) {
if (arr[r][c] == arr[r - 1][c] && arr[r][c] != 0) {
arr[r][c] *= 2;
for (int d = r - 1; d >= 1; d--) {
arr[d][c] = arr[d - 1][c];
}
arr[0][c] = 0;
}
}
}
break;
case 1:
// 위
for (int c = 0; c < N; c++) {
for (int r = 0; r < N; r++) {
if (arr[r][c] == 0) {
for (int d = r + 1; d < N; d++) {
if (arr[d][c] != 0) {
arr[r][c] = arr[d][c];
arr[d][c] = 0;
break;
}
}
}
}
for (int r = 0; r < N - 1; r++) {
if (arr[r][c] == arr[r + 1][c] && arr[r][c] != 0) {
arr[r][c] *= 2;
for (int d = r + 1; d < N - 1; d++) {
arr[d][c] = arr[d + 1][c];
}
arr[N - 1][c] = 0;
}
}
}
break;
case 2:
// 오
for (int r = 0; r < N; r++) {
for (int c = N - 1; c >= 0; c--) {
if (arr[r][c] == 0) {
for (int d = c - 1; d >= 0; d--) {
if (arr[r][d] != 0) {
arr[r][c] = arr[r][d];
arr[r][d] = 0;
break;
}
}
}
}
for (int c = N - 1; c >= 1; c--) {
if (arr[r][c] == arr[r][c - 1] && arr[r][c] != 0) {
arr[r][c] *= 2;
for (int d = c - 1; d >= 1; d--) {
arr[r][d] = arr[r][d - 1];
}
arr[r][0] = 0;
}
}
}
break;
case 3:
// 왼
for (int r = 0; r < N; r++) {
for (int c = 0; c < N; c++) {
if (arr[r][c] == 0) {
for (int d = c + 1; d < N; d++) {
if (arr[r][d] != 0) {
arr[r][c] = arr[r][d];
arr[r][d] = 0;
break;
}
}
} // 0 땡기기
}
for (int c = 0; c < N - 1; c++) {
if (arr[r][c] == arr[r][c + 1] && arr[r][c] != 0) {
arr[r][c] *= 2;
for (int d = c + 1; d < N - 1; d++) {
arr[r][d] = arr[r][d + 1];
}
arr[r][N - 1] = 0;
}
}
}
break;
}
}
}
'문제 풀이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463 - 1로 만들기 (자바/Java) : DP (0) | 2022.09.23 |
---|---|
[백준] 2579 - 계단 오르기 (자바/Java) : DP (1) | 2022.09.23 |
[백준] 12865 - 평범한 배낭 (자바/Java) : Knapsack Problem (1) | 2022.09.22 |
[백준] 17069 - 파이프 옮기기 2 (자바/Java) (0) | 2022.09.22 |
[백준] 1759 - 암호 만들기 (자바/Java) (1) | 2022.09.21 |